Z플립4 구입하고 나서 폰 보험을 알아보다가 갤럭시케어플러스 이외에도 통신사 스마트폰 보험에도 가입할 필요성을 느껴서 가입하게 되었는데요,

 

삼성케어플러스의 경우 꽤 저렴한 월 납부료에도 자기부담금 14만원에 거의 박살 지경까지 난 폰도 수리해주긴 하지만, 문제는 횟수입니다.

 

 

https://www.samsung.com/sec/Samsung-Care-Plus/IM/

 

삼성케어플러스 모바일/PC | 삼성닷컴

삼성케어플러스 모바일/PC | 삼성닷컴

www.samsung.com

 

삼성케어플러스 파손포장형은 2번, 도난분실까지 보장하는 유형은 3번까지 밖에 커버가 안 됩니다.

 

횟수를 다 채우고 나면 자동으로 삼성케어플러스가 해지되기 때문에 굉장히 곤란해지죠.

 

기름손인 사람한테는 삼케플만 의지하기엔 좀 불안해서 별도의 보험에 가입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https://product.kt.com/wDic/productDetail.do?ItemCode=1296 

 

KT 슈퍼안심

 

product.kt.com

 

KT 슈퍼안심은 KT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패드/워치/웨어러블 보험으로,

 

저는 Z플립4를 구매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옵션을 알아봤습니다.

 

 

 

KT 슈퍼안심은 크게 다음 요건들에 따라서 옵션이 달라집니다.

 

  • 안드로이드 폰인가? 아이폰인가?
  • 폴더블인가? 아닌가.
  • 새 단말로 신규가입 또는 기기변경한 날로부터 30일이 지났는가? 아닌가.

 

아이폰 전용 요금제는 요금제 이름에 i 자가 들어가고,

 

폴더블은 이름에 폴드, 플립, 갤럭시케어가 들어가며 (단독형 30일 이후는 예외),

 

30일 이후 가입할 수 있는 요금제는 단독형(30일 이후) 뿐입니다.

 

 

저는 Z플립4를 구매했기 때문에

 

  • 서비스형 갤럭시케어 200
  • 서비스형 갤럭시케어 150
  • 폴더블4전용 갤럭시케어 Lite 플립 4
  • 단독형(30일 이내) 심플_폴드
  • 단독형(30일 이후) 슬림_고급

 

를 놓고 고민했습니다.

 

표로 정리해보면,

 

  월 납부료 최대가입금액 자기부담금 단점
갤럭시케어 200 12,900 230만원 전손 35만 / 파손 14만 월 납부료 비쌈
갤럭시케어 150 8,900 200만원 전손 25만 / 파손 7만  
갤럭시케어 Lite 플립 4 6,700 130만원
또는 가입시점 단말기 출고가 중 낮은 금액
전손 30만 / 파손 14만  
심플_폴드 14,000 250만원 최대가입금액 또는 손해액 중 작은 금액의 30%
(최소 3만원)
월 납부료 비쌈
슬림_고급 4,300 100만원
또는 가입시점 단말기 출고가 중 낮은 금액
최대가입금액 또는 손해액 중 작은 금액의 25% (최소 3만원) 보험 가입 후 14일 이내의 사고는 보상 X

 

저는 갤럭시케어 150 월 납부료도 비싸다고 생각해서 갤럭시케어 Lite 플립 4와 슬림_고급을 놓고 고민 많이 했는데,

 

결국 갤럭시케어 Lite 플립 4로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스마트폰 보험은 가입할 때 사진을 찍어 제출하게 되어있는데,

 

수리이력이 있거나 파손되어있는 모습이면 가입이 안 되거든요.

 

게다가 가입 이후에 14일 이내에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보상도 못 받으니 불안하더라구요.

 

 

 

가입 방법

 

https://product.kt.com/wDic/productDetail.do?ItemCode=1296 

 

KT 슈퍼안심

 

product.kt.com

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제출해야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매처,결제일, 결제금액, 승인번호 확인되는 구매영수증(카드매출전표)
2. 휴대폰 앞면(케이스 제거 후 화면 켜진상태 + 폰 펼쳐진 상태 + 바닥에 두고 촬영)KT 전산상 고객정보조회 구두 동의 완료
3. 휴대폰 뒷면(케이스 제거상태 + 폰 펼쳐진 상태 + 바닥에 두고 촬영)
4. 휴대폰 화면캡쳐 (경로 : 설정→휴대전화정보→규제정보로 접속 후 "모델명, 일련번호(숫자7자리), IMEI " 캡쳐)

 

1번은 온라인에서 구매했다면 구매영수증과 신용카드결제전표를 제출하시면 되고,

 

2,3번은 휴대폰 보호필름이나 (기본 필름 제외) 케이스를 모두 떼어낸 상태의 생폰을 앞뒤로 찍어주시면 됩니다.

 

모든 서류는 상담직원이 보내주는 링크를 눌러서 온라인으로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이 완료되면 알림톡이 옵니다.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에서 시험 기간이 되어 시험을 치려는데 다음과 같이 경고문이 따악!!

 

 

...잉?

 

집에서 개인 공유기로 접속해서 시험을 치는데 이럴수가 있나?

 

순간 멘탈이 파악!

 

이 땐 당황하지 말고 화면 전체를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캡쳐를 뜬 뒤, 해당 사이트에 문의를 넣어줍니다.

 

 

저는 반쪽만 찍었는데 저러면 안 됩니다!!

 

 

 

원인은?

  • 가상 머신 프로그램 (virtualbox, vmware 등)
  • 핫스팟 사용
  • 공용 인터넷 사용 등

 

저는 버추얼박스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걸 까먹고 있었습니다.

 

시험치거나 수강하기 전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특히 수강할 때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 이상 문제가 된 적은 없는 거 같은데,

 

시험칠 때는 실행한 기억이 없음에도 중복 MAC & IP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물론 사람마다 어떻게 다를지는 장담 못합니다.)

 

 

 

해결 방법은?

ㅇ 시험 치려던 중 경고문 발생 : 시험 중복 임시확인서

ㅇ 수강하려던 중 경고문 발생 : 동일 MAC&IP 예외 신청서

문제가 발생하는 시점은 보통 수강하려다가 혹은 시험치려다가 이므로,

보통은 사유를 '알 수 없음' 으로 적어내게 됩니다.

 

 

시험 도중 경고문 발생 시

 

사유를 알 수 없음으로 해주고 동일MAC&IP 예외신청으로 넘어갑니다.

 

다만, 핫스팟 같이 유동 IP로 접속하신 분들의 경우엔 해당사항이 없다고 합니다.

 

저는 근데 그냥 이것도 혹시 몰라서 제출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꼭 문의해보세요.

 

 

보통은 기타(알 수 없음) 사유로 작성하게 됩니다.

 

별도의 서류도 필요없고 그냥 경고문 화면 캡쳐본만 첨부해주면 됩니다.

 

시험응시 중복MAC&IP 여부는 뭘 말하는 거냐면,

시험치다가 경고문 나왔는지, 수강하려다가 경고문 나왔는지 묻는 겁니다.

 

해당 상황에 맞게 선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강 도중 경고문 발생 시

 

이것도 보통은 기타(알 수 없음)으로 하고, 문제의 화면을 촬영했던 걸 첨부파일로 넣어줍니다.

 

 

 

 

처리가 완료되면 이렇게 문자가 오고, 홈페이지에 결과가 뜨게 됩니다.

 

이래서 정신건강을 위해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시험을 치는 게 좋아요.

 

저는 버추얼박스 사용하다가 이리 됐는데, 한동안 시험 볼 컴퓨터에는 버추얼박스 깔지 말아야겠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00820/102578766/1

 

끊이질 않는 법무법인의 '폰트 사냥', 문제는 저작권법?

구글 혹은 네이버 블로그에 ‘윤고딕’을 검색하면 사이즈별 윤고딕 폰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용자는 해당 폰트를 다운로드해 컴퓨터에 설치하고, 문서 작업이나 영상 편집 등에 널…

www.donga.com


보통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같이 깔리는 폰트들도 같이 사용해도 되는 걸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구매와는 별개로, 폰트에 대한 저작권이 존재합니다.

특히 한컴오피스, MS오피스와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해당 프로그램 내에 있는 폰트들 중 유료 폰트가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계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솔직히 이건 한컴과 같은 회사 측에서 유료 폰트 표시를 해주던지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제조사가 고지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라도 바로 알고 사용해야합니다.

 


 

유료 폰트 검사

https://www.kcopa.or.kr/lay1/program/S1T239C242/checktool/intro.do

 

홈 >자료마당>SW 점검도구>점검도구 다운받기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상암동 1602), 서울산업진흥원 4층, 9층, 10층 대표전화 : 1588-0190 팩스 : 02) 3153-2779

www.kcopa.or.kr


유료 폰트를 검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는 한국저작권보호원에서 제공하는 Inspector가 있습니다.

설치파일을 받아서 설치해주시고 실행해주세요.

 


폰트를 검사해보시면 이렇게 상용 폰트가 뭐 있는지 뜹니다.

저는 MS 오피스만 설치한 상태인데도 여러 개가 떴네요.

특히 HY헤드라인M 같은 폰트의 경우 자주 사용할 만한 폰트인데 주의해야겠습니다.

 


 

무료 폰트 종류


유료 폰트에만 멋진 글씨체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기업 모두에게 무료로 사용이 허가되는 폰트들 중 네이버 나눔글꼴, 서울서체와 같은 폰트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기업, 관공서 등에서 뿌리는 무료 폰트들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기관이나 유명 회사가 만든 게 아니라 개인이 만들던지 한 폰트면, 갑자기 유료로 전환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합니다.
솔직히 그런 식으로 라이센스 장사질하는 건 법적인 걸 떠나 윤리적으로 옳은 일인지;)

 

네이버 나눔글꼴

https://hangeul.naver.com/font

 

네이버 글꼴 모음

네이버가 만든 150여종의 글꼴을 한번에 만나보세요

hangeul.naver.com

 

서울 서체

https://www.seoul.go.kr/seoul/font.do

 

서울특별시 서울소개

조직도, 자치구, 찾아오시는 길, 청사안내, 서울의 상징, 서울의 역사, 서울정보, 서울시청 선수단 소개등의 정보 제공

www.seoul.go.kr

 

한국환경공단 환경체

https://www.keco.or.kr/kr/intro/ci/contentsid/2370/index.do

 

환경체  | 한국환경공단

자연 가까이 사람 가까이 한국환경공단 자음 ‘ㅎ’의 꼭지점은 세우고 상투의 오른쪽에 곡선을 가미하여 특징을 살림 모음의 시작하는 모서리와 끝나는 모서리에 부드러운 곡선을 가미하여

www.keco.or.kr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않으면 괜찮은 폰트입니다.

 

NHN커머스 고도체

https://design.nhn-commerce.com/custom/free-font.php

 

디자인 | NHN커머스

NHN커머스 : 쇼핑몰스킨, 모바일스킨, 무료디자인스킨, 부분디자인, 쇼핑몰 맞춤제작

design.nhn-commerce.com

 

식상하지 않고 멋있는 폰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나눔글꼴, 서울서체와 더불어 탑 3안에 들어가는 폰트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해당 폰트를 사용한 저작물을 맘껏 가져다가 사용하겠다니, 마냥 좋다고 갖다쓰긴 어렵습니다.


배달의민족 폰트

https://www.woowahan.com/fonts

 

우아한형제들

문 앞으로 배달되는 일상의 행복

www.woowahan.com

이것도 해당 폰트를 사용한 저작물을 갖다 쓸 수 있는 권리를 가져가니, 조심해야합니다.

 

 

아모레퍼시픽 아리따 글꼴

https://www.apgroup.com/int/ko/about-us/visual-identity/arita-typeface/arita-typeface.html

 

아리따 글꼴 | 아모레퍼시픽

 

www.apgroup.com

 

현대백화점 해피니스 산스

https://thehyundaifont.com/#download

 

해피니스 산스 Happiness Sans

현대백화점의 새로운 폰트, 해피니스 산스

thehyundaifont.com

 

빙그레체

http://www.bingfont.co.kr/about.html

 

빙그레 서체

2020 갑붕싸? 빙그레 싸만코체 출시!

www.bingfont.co.kr

 

빙그레 서체도 개인/기업 모두에 무료긴 하지만,

빙그레서체를 가져다 쓴 저작물을 빙그레측에서 가져다 쓸 수 있다고 하니 조심하세요.

 

 

넥슨 폰트

http://levelup.nexon.com/font/index.aspx

 

>NEXON LEVEL UP (레벨업) – 넥슨 브랜드 인벤토리

LEVEL UP의 첫 단계로 게임에서 경험했던 느낌을 서체에 담아 표현했습니다. 서체의 기능적인 부분 외에도 즐거운 경험들을 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도전의 시작입니다.

levelup.nexon.com


빙그레 서체와 마찬가지로 사용 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무료 폰트 모음 사이트

 

공유마당

https://gongu.copyright.or.kr/gongu/bbs/B0000018/list.do?menuNo=200195&bbsSeCd=04

 

무료폰트(목록) |  공유 마당

 

gongu.copyright.or.kr

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지자체 관련 폰트들이 많이 나와 있어서 유용합니다.

 

 

눈누

https://noonnu.cc/

 

눈누

상업용 무료한글폰트 사이트

noonnu.cc

 

 

구글 폰트

https://fonts.google.com/?subset=korean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위 3개의 사이트만 이용해도 왠만한 무료 폰트는 다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1년 만에 학위 취득하는 방법으로는 많은 분들이 독학사를 애용하고 계시는데요,

학은제로도 1년만에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는 점, 알고 계시나요?

이건 컴퓨터공학 기준으로 1년 만에 학은제 학위 취득하는 플랜의 한 예시입니다.

이 플랜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독학사 1,2단계로 최대한 학점을 번다.

1단계 국어의 난이도가 안드로메다라서 여기에 플랜 수정 여부가 달리는데,

최대한 50학점을 벌어야 합니다.

3,4 단계에서도 학점을 벌 수는 있겠으나, 주관식이 있기에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 1년 42학점 제한을 회피한다.

자세히 보시면 21년도 2학기부터 학은제를 시작했음을 알 수 있죠?

이런 경우 소속연도가 다르기 때문에 1년 42학점 제한에 걸리지 않습니다.

만일 22년도 1학기, 22년도 2학기 이렇게 했으면 각각 24, 18학점을 이수해야했을 겁니다.

자격증으로 최대한 학점을 많이 벌어들인다.

쉬우면서도 학점을 많이 주는 자격증은 컴퓨터공학 기준으로, 네트워크관리사 2급입니다.

이건 응시료가 비싸더라도 그 값어치를 하니 반드시 챙기시고,

컴활 1급은 좀 고생 좀 하셔야 합니다ㅋㅋㅋㅋ

매경은 안 해봐서 모르는데 저는 사무자동화산업기사로 16학점 벌고 대신에 1단계 국어까지 합격해서 독학사 1,2단계 총합 50학점 벌었네요.

이렇게 하면 1년만에 학은제로 학위 취득이 가능합니다

 

???: 아니 그럼, 1학기에 학은제 시작한 사람은 어쩌라구요????

방법은 있습니다.

자격증으로 학점을 좀 더 벌거나,

독학사 3단계 일부 과목을 추가로 더 합격하거나 하면 됩니다.

2학기에 학은제 시작한 사람과는 달리 1학기에 학은제를 시작하면 학은제 강의로 1년 내에 42학점 밖에 못 벌기 때문에 나머지 6학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를 고민해야합니다.

가장 만만한 건 그나마 독학사로, 3단계 2과목 합격하면 10학점이나 벌 수 있기 때문에 독학사를 이용하시는 걸 가장 추천드립니다.

앞서 말씀드리자면, 학은제는 차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정규대학을 나올 수 있다면 정규대학을 나오시는 걸 추천드릴 정도로요.

하지만 저의 경우엔 나이가 어린 것도 아닌데 4년이라는 시간을 들여서 학자금 대출까지 받아가며 공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했고,

방통대를 고르기에는 오프라인 출석도 있고, 수업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도 있어 망설여졌어요.

어차피 제가 종사하는 분야는 학력이 엄청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분야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있었고요.

이게 제가 학은제에 뛰어들게 된 이유입니다.

 

Q. 학은제(학점은행제)란 무엇인가요?

A. 학은제란, 은행에 적금하듯 학점을 쌓아 일정한 학점이 되면 학위 취득을 할 수 있는 평생교육제도입니다.

전공 학점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학점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전공 필수 학점은 각 전공마다 다른데요, 각 전공마다 요구하는 전공필수 학점을 채우지 않으면 전공 학점을 다 채웠다고 하더라도 졸업 요건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전공 선택과목으로만 전공 학점 60점을 채웠다고 하면, 전공 필수 학점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으므로 학위 취득이 안 되는 거죠.

② 일반 학점은 안 채워도 무방!

전공 학점과 교양 학점 조건, 그리고 학위 취득 조건(학사 140학점, 전문학사 80학점)이 중요합니다.

전공 학점과 교양 학점의 경우 반드시 다 채워야 하나 일반 학점은 하나도 안 채워도 됩니다.

즉, 전공이나 교양 과목으로 일반 학점을 대체할 수 있단 이야기예요.

③ 의무 18학점

의무 18학점 조건은, 평가인정학습과정 또는 시간제 등록을 통해 이수한 학점이 반드시 18학점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학은제 강의를 6개 이상 들으면 됩니다. 보통은 한 과목 당 3학점이므로...

Q. 학은제 시작하고 싶은데 이해가 안 가고 복잡해요ㅠ

A. 다음 사이트들을 이용해보세요.

질문하면 보통 당일이나 익일 내로 답변이 달립니다.

학점 계획 세우는 것을 포함해 각종 궁금한 사항을 이해하기 쉽게 답변해주니, 강추합니다.

▲학점은행제 공식사이트 :

학습 설계 답변은 2주 정도 소요됩니다. 오래걸리죠.

하지만 일반적인 답변의 경우엔 보통 익일에 답변해줍니다.

가장 정확한 답변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처음 학은제를 시작하는 사람 입장에선 답변을 봐도 뭔 소린지 모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E그린원격평생교육원 같은 각 평생교육원에서는 학습 설계를 매우 자세하게 짜줍니다.

다만 교육원마다 특정 전공만 다루거나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전공에 따라 평생교육원을 잘 선택해서 해당하는 평생교육원에 학습 설계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학점은행제를 시작하고 싶은데 뭐부터 해야하나요?

A. 일단 학점은행제 사이트에서 학습자 등록부터 하셔야 합니다.

Q. 플래너가 도와준다는데, 플래너가 필요할까요?

A. 필요없어요.

단언컨대 필요없습니다.

처음에는 엄청 막막해보여도 조금만 알아보면 됩니다.

결국 공부를 하는 건 여러분이지, 플래너가 아닙니다.

Q. 학은제 강의 제한사항은 없나요?

A. 기억하세요. 24, 42.

① 한 교육원에서 105학점 이상을 들을 수 없습니다

보통 학점을 채우기 위해 자격증까지 동원하기 때문에 이 제한 사항에 걸리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② 1개 학기에 24학점까지 인정됩니다.

③ 1년에 42학점까지 인정됩니다.

1년은 2개 학기로 이루어져 있고, 1년에 학은제 강의로 채울 수 있는 학점은 24학점으로 제한되어있습니다.

이게 가장 중요해요.

예를 들어 2022년 1학기에 24학점 수강했다고 하면, 2학기에는 18학점만 수강 가능하거든요.

1년 42학점 제한이 있으니까요.

이걸 몰라서 아까운 돈과 시간이 낭비되는 경우가 생깁니다ㅠ

다만, 독학사(독학학위제)나 자격증 학점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게 바로 1년 만에 학위 취득을 할 수 있는 비결이죠.

Q. 학기의 구분은 어떻게 되나요?

A. 학기 구분은 종강일 기준으로 나뉩니다.

1학기 : 3.1~8.30

2학기 : 9.1~이듬해 2.28

Q. 자격증 학점 인정 제한사항은 없나요?

A. 자격증도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① 자격증 개수 제한

학사는 총 3개까지,

전문학사는 총 2개까지 학점으로 인정됩니다.

② 일반 자격증은 1개까지만 인정!

자격증도 전공 자격증이 있고, 일반 자격증이 있는데 일반 자격증은 1개까지만 인정됩니다.

전공 자격증은 전공별로 다릅니다.

아래 링크에서 검색해보세요.

https://www.cb.or.kr/creditbank/eduIntro/nEduIntro2_4_3.do

 

전공 검색 | 전공별 자격연계 | 자격 | 학점인정 대상 | 학점은행제 소개 | 학점은행

홈으로 이동 학점은행제 소개 학점인정 대상 이전학점인정 대상 전공별 자격연계 --> 자격 전공별 자격연계 자격별 학점인정의 세부기준은 교육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장

www.cb.or.kr

③ 분류나 직무 번호 둘 중에 하나는 달라야 합니다

자격증을 잘 보시면 분류와 직무 번호가 있는데, 분류와 직무번호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달라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중복으로 인해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Q. 학점 인정 신청을 하고 싶어요!

A. 1, 4, 7, 10월입니다.

학습자 등록하는 시기와 같습니다.

Q. 학점 인정 신청은 여러 번 할 수 있나요?

A. 네, 몇 번을 하던지 상관없습니다. 학점 인정 신청 기간 내라면, 몇 번이고 신청 가능합니다.

Q. 중복과목이 있다고 들었어요!

A. 네, 맞아요.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름이 사실상 같은 게 아니면 중복과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Q. 전공/교양이라고 표시된 과목은 뭔가요?

A. 본인의 전공에 따라서 전공이 될 수도 있고, 교양 과목이 될 수도 있는 과목입니다.

전공교양호환과목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면 인력개발과활용이라는 과목은 경영학사 전공 과목이면서 교양 과목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학점은행제에 경영학사로 학습자 등록을 하셨다면 해당 과목 수강 시 전공 학점으로 인정받거나 교양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전공, 교양 중 어느 학점으로 인정받을지 선택 가능)

반면 타 전공인 컴퓨터공학의 경우 교양과목으로밖에 인정되지 않습니다.

Q.수강 시 주의할 사항은?

A.중복 IP 문제입니다.

MAC 주소와 IP를 등록하는 곳이 많은데(적어도 MAC주소는 어딜 가나 의무),

핫스팟, 직장에서 수강할 시 중복 IP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복 IP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수강 기관으로 서둘러 연락하셔야 합니다.(2주 내에 처리해야 함)

또한 창 여러 개 켜두고 동시 수강한다던지 하는 행위들은 삼가셔야 합니다.

그리고 성적 미달로 F학점이 나올 경우 학점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

 

학은제와 자격증에 대한 설명은 이 정도면 이해가 가시죠?

그럼 이제 독학사(독학학위제)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독학사라는 건 쉽게 말해 대졸 검정고시입니다.

학은제도 생소한데 독학사는 거의 들어보신 분들이 없을 거예요.

그리고 인지도가 그 정도로 없는 만큼 공부 자료도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독학사를 애용해야 하나면, 아까 말했던 1년 42학점, 1개 학기 24학점 제한 때문입니다.

독학사는 이 제한에 걸리지 않거든요.

독학사를 잘 활용하면 학위 취득까지 걸리는 시간을 엄청나게 절약할 수 있을 뿐더러, 비용도 절감됩니다.

Q. 독학사(독학학위제)란?

A. 시험을 쳐서 학위를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1~4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단계 : 교양(1월 접수)

2단계 : 전공기초(4월 접수)

3단계 : 전공심화(7월 접수)

4단계 : 학위취득 종합시험(9월 접수)

1~4단계까지 전부 합격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년에 각 단계별로 1번씩 시험이 있습니다.

1단계는 각 과목당 4학점씩, 2단계부터는 각 과목당 5학점씩 벌 수 있으며,

과목에 따라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고, 교양학점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교양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des.nile.or.kr/nile/about/nAbout3_1.do

 

제도 활용>독학학위제>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위제

HOME 독학학위제 제도 활용 제도 활용 학점은행제 학점인정 학점은행제 학점인정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제2항제5호에 따라 독학학위제 시험합격 및 면제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은

bdes.nile.or.kr

Q. 독학사 응시 자격은?

A. 고등학교 이상의 졸업 학력.

단, 4단계는 1~3과정 전 과목 합격 또는 면제자, 동일 전공에서 4년제 대학 3학년 수료 또는 학은제 105학점 취득(전공 16학점 포함)자만 응시 가능합니다.

또는 1~3단계까지 면제해주는 자격증이 전공마다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컴퓨터공학의 경우 정보처리기사가 있으면 3단계까지 면제받고 바로 4단계 응시 가능합니다.

Q. 독학사는 학습자등록 어떻게 하나요?

A. 그런 거 없어요

시험을 치고나서 합격하면 자연스레 전산에 등록됩니다.

Q.인정되는 학점이 어떻게 되나요?

A. 각 단계별 20, 30, 30, 30점입니다.

1단계 : 교양 5과목 x 4학점 = 20학점(단, 일부 과목은 전공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음)

2단계 : 전공 6과목 x 5학점 = 30학점(8과목 모두 응시할 수 있으나 최대 인정 학점은 30학점)

3단계 : 2단계와 동일

4단계 : 2단계와 동일

Q. 학점은행제와 병행하고 싶은데 학점은행제 전공과목이 독학사 전공 과목 목록에 없어요

A. 독학사 홈페이지의 동일전공인정학과 현황/신청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과목이 어떻게 되나요?

A. 전공별로 다릅니다.

1단계 : 국어, 국사, 외국어(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중 택 1), 선택 2과목(현대사회와 윤리, 문학개론, 철학의 이해, 문화사, 한문, 법학개론, 경제학개론, 경영학개론,

사회학개론, 심리학개론, 교육학개론, 자연과학의 이해, 일반수학, 기초통계학, 컴퓨터의

이해 중 택 2)

2단계부터는 전공에 따라 달라지므로 독학사 홈페이지의 전공분야/과목 항목을 참고하세요

https://bdes.nile.or.kr/nile/exam/nExam2_1.do

 

전공분야/과목>시험안내>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위제

HOME 시험안내 전공분야/과목 전공분야/과목 전공분야 독학학위취득시험은 총 11개 전공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국어국문학 영어영문학 심리학 경영학 법학 행정학 유아교육학 가정학 컴퓨터공학

bdes.nile.or.kr

Q.시험이 어떻게 구성되나요?

A. 과목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1~2단계 : 객관식 40문항 * 2.5점 = 100점

3~4단계 : (객관식 24문항 * 2.5점) + (주관식 4문항 * 10점) = 60점 + 40점 = 100점

*예외 과목은 문항 수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과목 선택 전 꼭 독학사 홈페이지의 전공분야/과목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학점은행제 과목과 중복되나요?

A. 네, 맞아요. 조심하세요.

독학사 과목들은 학점은행제 과목과 이름이 같을 경우 중복과목이 되므로 조심하셔야 합니다.

(중복 과목의 경우 1개 과목의 학점만 인정됨)

Q. 독학사 시험에 불합격했어요. 올해 4단계는 못 치르는 건가요?

A. 괜찮아요. 방법은 있습니다.

Q.학은제 학사 취득까지의 비용은 얼마 정도인가요?

A.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습니다만 자격증과 독학사를 병행하면 200만원으로도 충---분합니다.

(이건 단지 예시이므로 참고만 바랍니다)

학습자 등록 : 4,000원

140학점 인정 : 1000 X 140 = 140,000원

독학사 1단계 응시료 : 20,400원

독학사 2단계 응시료 : 20,400원

독학사 1단계 교재 : 과목당 30,000 X 5과목 + 기출문제집 30,000원 = 180,000원

독학사 2단계 교재 : 과목당 30,000 X 8과목 + 기출문제집 30,000원 = 270,000원

학은제 강의 : 과목당 30,000 X 16 = 480,000원

컴활 1급 필기 응시료 : 19,000원

컴활 1급 실기 응시료 : 22,500원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응시료 : 43,000원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응시료 : 78,000원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응시료 : 19,400원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실기 응시료 : 31,000원

약 130만. 아무리 비싸게 잡아도 200만원 정도면 학위 취득이 가능합니다.

특히 독학사 학습 교재를 방통대 교재로 잡으면 비용 절감이 훨씬 더 되며,

2단계는 8과목을 다 응시할 필요없이 6과목만 응시하고 죄다 합격해도 됩니다.

기출문제집도 옵션이며, 학은제 강의도 KMOOC나 한기대 강의 등으로 대체하면 상당히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죠.

사람에 따라서 100만원 내외로도 학위 취득이 1년만에 충분히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